2016-04-22 프라임사업의 방향이 일년전 박용성 이사장 지시대로 실시되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수협의회 | 작성일16-04-22 13:24 | 조회2,053회관련링크
본문
프라임사업의 방향이 일년전 박용성 이사장 지시대로 실시되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인가
오늘 우리는 또다시 놀라운 언론보도를 접했다. 그동안 잊고 있었던 박용성 전 이사장이 또 다시 등장한 것이다. 지금 학교 본부가 추진하고 있는 프라임사업의 방향이 꼭 1년 전 박용성 이사장이 지시한 내용과 한치도 다르지 않게 그대로라는 사실이다.
4월 22일 <머니투데이>가 공개한 지난 2015년 3월 25일 박용성 전 이사장이 이용구 총장 및 본부 핵심 보직교수들에게 보낸 메일의 ‘지시사항’에 따르면, 학교가 제출한 프라임사업 계획서는 박용성 전 이사장의 지시사항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박용성 전 이사장은 중앙대 공대가 경쟁대학보다 규모가 작으니, 200명의 인원을 늘려서 서울 시내에서 최대 규모로 키우고, 필요한 인원은 인문사회계열과 예술체육 계열을 구조조정해서 마련하라고 구체적으로 지시하고 있다. 이는 이번에 프라임사업에서 서울 캠퍼스의 인원조정 규모와 내용 그대로이다.
(<머니투데이> 2016. 4.22.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42111161319812&outlink=1)
프라임사업의 방향이 작년 초 추진되던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안)>대로 아니냐는 우려는 여기저기서 심심치 않게 제기되었다. 교수들은 그래도 <선진화 계획(안)>은 학교가 접은 것 아닌가 애써 긍정적으로 생각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제 드러난 상황을 보면 학교는 박용성 전 이사장의 지시사항을 1년에 걸쳐 충실히 이행하고 있었고, 이는 결국 <선진화 계획(안)>을 한 걸음 한 걸음 차근차근 실행에 옮기고 있었던 것에 다름 아니다.
수신자 실명이 확인되는 오전 첫 보도에 따르면 1년 전 메일을 받은 사람 중에는 지금도 프라임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보직교수도 포함되어 있다. 학교 본부와 법인은 이 언론 보도와 공개된 메일의 지시 내용에 대해 해명해야 할 것이다. “우연히 일치한 것일 뿐”이라는 식의 말로는 학내 구성원들의 공분을 일으킬 뿐이다. 여러 차례 독촉에도 끝끝내 프라임사업 신청서를 공개하지 않는 이유가 박용성 전 이사장의 관련성 때문이 아닌지도 해명해야 할 것이다.
2016. 4. 22.
중앙대학교 교수협의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