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29. 김창수 총장은 QS조작 사태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수협의회 | 작성일17-12-14 21:41 | 조회850회첨부파일
-
20171129_총장QS책임.pdf (105.3K) 80회 다운로드 DATE : 2017-12-14 21:41:46
관련링크
본문
김창수 총장은 QS조작 사태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교수협의회는 중앙대 QS평가 조작사태가 담당 직원 두 명에 대한 감봉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며 법인과 총장이 실질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김창수 총장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는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QS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발송해 주는 것 정도로 제기된 의혹을 덮고 지나가려 하고 있다.
다시 한 번 분명하게 요구한다.
김창수 총장이 직접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모든 교수들에게 공개하고, 교협이 제기한 의혹들에 대해 솔직하게 해명하고 책임지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
우리가 강조했듯이 비공개 <결과보고서>의 은폐 책임은 총장에게 있다. 핵심적 문제는 이 비공개 <결과보고서>가 총장에게 보고된 시점에 교협은 별도로 QS조작사태에 대한 자체 진상조사를 벌여 중요한 5대 의혹을 제기하고, 7월 31일까지 총장이 해명과 책임지는 태도를 취하지 않으면 강력한 대응을 할 것을 통고한 바 있다. 그런데 당시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보고받은 총장은 교협이 제기한 5대 의혹이 상당부분 사실임을 알고 있으면서 이에 대한 해명과 책임은커녕 일체의 대응을 거부하고 조사한 결과조차 은폐했던 것이다.
개별적으로 요청해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받아본 분들은 교협이 11월 7일 발표한 “중앙대 법인의 책임을 묻는다 ④: QS조작 자체조사 결과조차 은폐하는 법인과 총장”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사실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교협이 이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정리한 요점을 간단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QS평가에서 학교의 초미의 관심은 <기업계 평판>점수를 올리기 위한 방법이었고, 이는 이사장의 관심사이기도 해서 점수를 올릴 방안이 이사장에게도 보고 되었다.
(2) 이미 2017년 이전에도 <기업계 평판>조작이 관행으로 지속되고 있었고 이는 보직교수도 알고 있던 일이다.
(3) 평가담당 직원이 기업계 평판 점수를 올려야 하는 과도한 압박 하에 있었고, 이 점수를 올리지 못한다면 “평가팀은 지탄의 대상이 되며 그에 따른 심리적 부담은 견디기 힘든 수준”이었다.
(4) 2017년의 ‘대리입력’ 조작은 자동 매크로입력 방식으로 더 발전했다.
김창수 총장이 이처럼 이미 확인된 문제에 대해서도 책임지려 하지 않고 답변도 거부하는 이유가 이 사태를 다음과 같이 보기 때문 아니라면, 이해하기 어렵다.
“QS조작에 나는 관여한 적이 없으며, 모든 것은 이 일을 주관한 이사장이 책임져야 할 일이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모든 방법을 동원해 대학 평가 순위를 올릴 것을 강요하는 법인 아래 조작을 해서라도 평가 점수를 높이도록 담당 직원들이 감당할 수 없는 심적부담을 느껴왔던 상황이 <결과보고서>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는데, 총장만 그것을 몰랐고 거기에 책임이 없다는 말처럼 무책임한 태도는 없다. 모든 책임을 담당직원이나 법인에 떠넘기는 태도로 이 사태를 비켜갈 수는 없다.
김창수 총장은 어떻게 해도 QS조작 사태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본인이 분명히 책임지는 태도를 표명하거나, 아니면 의혹만 남긴 미진한 조사를 끝까지 진행할 수 있도록 진상조사위원회를 새로 꾸리거나 아니면 외부 공적 기관에 감사를 요청해야 할 것이다.
이미 끝난 일을 왜 자꾸 들추어내냐고 묻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총장과 학교본부가 자체 <결과보고서>조차 은폐한 것이 드러난 상황을 보면, 그리고 교수님들께서 직접 이 비공개 <결과보고서>를 읽어본다면, 이 조작 사건이 전혀 종료된 일이 아님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제라도 이 조작사태를 뿌리까지 조사해 해결하고 가야지 여기서 한 번 더 밝히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 대외적 신뢰가 손상되면 중앙대의 명예를 되찾을 길이 없을 수도 있다.
11월 14일 교무위원회 회의록을 보면 총장은 모든 일을 잘하고 있고, QS조작사태에 대한 책임도 모두 진상조사위원회에 떠넘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창수 총장이 회피 일변도로 이 사안을 계속 은폐하려 한다면, 교수협의회는 이 조작사태가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의혹에 대해서 공적 기관에 감사 의뢰를 하지 않을 수 없음을 다시 한 번 천명한다.
2017. 11. 29.
중앙대학교 교수협의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